반도체 제품의 전 사용주기에 따른 불량률을 개선하여 안정적으로 제품을 양산하기 위한 모든 활용을 의미하며, 반도체 산업에서의 제품 개발은 제품의 성능 구현·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양산에서는 제품의 성능 유지에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에 초기문제에 대한 평가·분석 부분과 신뢰성을 개선하는 활동으로 그 범위를 맞추고 있습니다.
제품의 성능 유지에 초점을 맞춰 불량률을 개선하고 평가·분석 및 신뢰성을 개선해 안정적인 제품 양산
사업개요
차세대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불량분석, 품질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인력양성 체계 구축
사업목표
차세대반도체의 불량분석 및 품질관리 특화 석·박사 인력양성을 통한 기업의 제품 성능향상 및 제조 경쟁력 강화 지원
사업내용
품질관리 특화 교육과정 운영, 산학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전문분야 실무 역량 강화 지원
참여대학 및 컨소시엄 기업
3개 분과에 5개 대학이 함께합니다
불량분석
테스트
신뢰성 평가
대학과 협업하는 많은 기업들이 함께합니다.
교육내용
01교육과정
02수료요건
구분 | 기준요건 | 박사(석박통합)과정 | 비고 | |
---|---|---|---|---|
교육과정 | 기초공통 | 총 18학점 이수 (교육과정 구분 무관) |
총 24학점 이수 (교육과정 구분 무관) |
타 산업 분야 융합과정 1과목 수강 필수 |
전공기초 | ||||
전공심화 | ||||
실무교육 | 산학 프로젝트 | 불량분석, 신뢰성평가, 테스트 분야 1회 이상 이수(1회당 2개월 이상) |
||
현장체험 | 1회 이상 수행(1회당 1개월 이상) | 산학 프로젝트 연계 가능 |
01교육내용
구분 | 프로그램 세부내용 | 비고(교육대상) | |
---|---|---|---|
부산TP | 1일차 |
|
학부 4학년생 및 석박사 과정생 |
2일차 |
|
||
3일차 |
|
구분 | 프로그램 세부내용 | 비고(교육대상) | |
---|---|---|---|
반도체협회 및 KETI |
1일차 |
|
학부 4학년생 및 석박사 과정생 |
2일차 |
|
||
3일차 |
|
||
4일차 |
|
관심있는 대학 석/박사 진학 희망자는 누구나 참여(상담) 가능합니다.
산업인력실 정은비 PM
T02-570-5233
Ejeb119@ksia.or.kr
졸업 후 진로